3월 4일 수산아이앤티가 창립 27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이를 기념하여 정은아 대표가 언론사 단독 인터뷰를 통해 당사의 지난 발자취와 더불어 2025년을 향한 새로운 비전을 공유했는데요. 최근 이슈인 딥시크, 챗GPT 등 생성형 AI에 완벽 대응하는 수산아이앤티 솔루션에 대한 내용도 언급되어 있으니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중국 텐센트의 인공지능(AI) 챗봇 ‘위안바오’가 딥시크를 제치고 중국에서 최다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앱) 자리를 차지했다. 중국산 AI가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가운데 위안바오 또한 개인정보 관련 우려가 딥시크 못지않게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위안바오는 텍스트, 음성, 이미지, 파일, 키보드 입력 기록 등 입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한다. 보관된 정보는 딥시크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정책에 따라 정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용자가 정보 수집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인 ‘옵트아웃’이 존재하긴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회사에 요청하거나(훈위안) 기본 설정을 찾아 변경해야(위안바오) 한다는 점에서 완전하지는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 백악관이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를 미국 정부 소유 기기에서 쓰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당국자들이 딥시크가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식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 안보를 우려로 정부 기기 내 딥시크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막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위믹스 재단이 최근 해킹으로 87억원 상당 가상자산을 탈취당한 뒤 뒤늦게 공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에 속한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거래소들도 위믹스를 거래 유의 종목으로 지정했다. 위믹스 재단은 4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달 28일 플레이 브릿지 볼트에 악의적인 외부 공격을 받아 약 865만 WEMIX가 비정상 출금됐다"고 밝혔다. 해당 물량은 쿠코인, 비트마트, 바이비트, 비트겟, HTX, 비트투미, MEXC 등 해외 거래소 7곳에 나눠 입금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국내에서 신고된 사이버 위협 피해는 2023년 1277건에서 지난해 1887건으로 48% 증가했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반기별로 보면, 2022년에는 상반기 473건, 하반기 669건이었고, 2023년에는 상반기 664건, 하반기 613건이 신고됐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899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5% 늘었으며, 하반기에는 988건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