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망보안체계 시대 개막… 공공엔 과제·산업계엔 지원 중책 정부가 획일적인 망분리 정책을 탈피한 국가망보안체계(N²SF)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신 보안 체계 시대의 서막을 알렸다. 정부부처·공공기관은 망분리 이외의 보안정책을 적용해 정보기술(IT) 신기술을 활용하는 동시에 보안 역시 강화해야 하는 숙제를 안았다. 또 정보보호산업계는 공공 부문이 보안성과 데이터 공유 활성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책을 맡게 됐다.
AI 국가전략기술 지정, 이달 국회서 본격 논의 딥시크 쇼크로 전 세계가 발칵 뒤집힌 가운데 우리나라가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AI를 국가전략기술로 서둘러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AI가 반도체와 바이오의약품처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돼야 정부 차원의 산업 지원과 육성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경찰, 딥페이크·가짜뉴스 탐지 시스템 개발한다…91억 원 투입 경찰이 딥페이크·딥보이스, 가짜뉴스를 판별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2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허위조작 콘텐츠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3년간 91억원을 투입한다. 이와 관련 경찰청은 '허위조작 콘텐츠 진위 여부 판별 시스템 개발' 신규 과제 선정 계획을 최근 공고했다. 딥페이크를 활용한 영상형 허위조작 콘텐츠를 중심으로, 음성형·텍스트형 콘텐츠 조작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데이터셋과 통합시스템을 개발하겠다는 목적이다. 연구기간은 올해 4월부터 2027년 12월까지다.
누가누가 더 잘 숨나… 기업 네트워크에 최장 44일 머문 해커들 최근 사이버 공격자들이 기업 네트워크에 장기간 탐지되지 않은 상태로 머물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공격자들은 랜섬웨어를 실행하기 전 네트워크를 손상시켜, 데이터 탈취 등을 위한 밑 작업을 수행한 것으로 분석됐다. 시스코 인텔리전스 전문조직 탈로스(Talos)가 지난달 공개한 2024년 4분기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랜섬웨어 및 데이터 탈취 위협은 전체 공격에서 30%를 차지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집계 규모가 40%였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비중이 소폭 줄어들었다.
📌 공지 사항 국가 망 보안체계 보안 가이드라인(Draft) 배포 정부가 획일적인 망분리 정책을 탈피한 국가 망 보안체계(N²SF)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했다. 국가정보원은 최근 업무 중요도에 따라 기밀(C)·민감(S)·공개(O) 등급으로 분류하고, 보안통제 항목을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내용의 국가 망 보안체계 가이드라인을 공개했다. 또한 올해 상반기 선도사업 등을 통한 안전성 검증과 희망기관 대상 컨설팅 등 국가망보안체계가 조기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며, 하반기엔 가이드라인의 미비점을 보완한 뒤 정식 배포하는 등 정책을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